복's
알고리즘 스터디 운영을 해보며... 본문
2024 년에 시작한 알고리즘 스터디가 어느새 2025 년에 도달했고, 앞으로도 알고리즘 스터디와 다른 스터디를 운영하게 된다고 해도 회고록을 남기면 좋을 것 같아서 회고를 시작한다.
내가 운영하는 스터디는 코딩 테스트를 단 기간 준비하는게 목적이 아니라 감을 유지하기 위한 스터디이기 때문에 엄청 타이트한 축에 속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강제성 없기 때문에 100% 자기주도적으로 운영되서 누군가가 잡아줘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는다.
실제로도 정말 많은 사람들이 들어왔다 나갔고, 다행히 나는 스터디장으로 사람이 오고 가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물론 스터디원이 부족해서 새로운 멤버를 영입 해야할 때에는 귀찮다.)
[ 📌 정보 ]
- 문제 수: 3 문제
- 난이도
- 백준: 실버 ~ 골드
- 프로그래머스: LV2 ~ LV3
- 릿 코드: Medium (릿 코드에서는 잘 출제되지 않는다.)
- 언어: Java, Python (대부분이 Java)
- 풀이 기간: 매 주 일요일 까지
[ 📌 디스코드 ]
👉 공지: 알고리즘 일정이나 문제 출제를 부탁할 때 내가 사용하는 채널이다.
👉 날-찾지-마세요: 일정 때문에 불참하는 인원들이 불참 사유를 적는 곳이다.
2 주간 무단으로 불참하면 통보 없이 바로 추방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채널이다.
스터디 운영 하면서 느끼지만 스터디 나가도 아무에게도 피해 없으니 편하게 말씀 해달라고 해도 생각보다 잠수 타시는 회피형 인간들이 많다.
불참의 이유가 놀기 위해서라도 채널에 불참 한다고만 말해 준다면 아무 패널티 없이 스터디 지속이 가능한 자유로운 스터디를 운영하고 있다.
👉 문제-히스토리: 매 주 선정되는 출제 인원이 선택한 문제 url 을 올리는 채널
👉 github: Webhook 걸어두고 깃 허브 이벤트를 받아와서 디스코드에 뿌리고 있다.
- Issue 로 문제를 발행
- Commit 을 Push
- 코드 리뷰를 작성
위와 같은 많은 깃허브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디스코드로 날아오도록 설정 해놨다.
[ 📌 노션 ]
👉문제 출제 히스토리: 스터디 인원들이 중복되는 문제를 출제하지 않을 수 있도록 출제된 문제들을 관리하고 있다.
👉 스터디원 일정 관리: 가장 큰 목적은 무단 불참이 2주 연속으로 이어진 사람을 추방하기 위해서지만 막상 작성 해놓으니 참여율도 확인할 수 있고 좋은 것 같다.
👉 ETC...: 스터디 규칙이나 참여 방법들은 따로 기록들을 해두었다.
많은 알고리즘 스터디에 참여 해봤는데, 내가 스터디를 개설해서 운영하게 된 계기는 내가 원하는 스터디에 들어가는 것 보다 만드는게 빠르다는걸 깨닫게 되어서였다.
나는 코드 리뷰 문화가 있는 스터디에 참여해서 다양한 의견 교류를 github 내에서 하고 싶었는데, 생각보다 그런 스터디는 없었다.
그나마 괜찮다고 생각된 스터디는 오프라인으로 스터디룸을 빌려서 큰 화면으로 발표 식으로 진행하는 것 이었는데, 온라인에서도 발표를 진행할 수 있어서 나는 온라인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관리가 힘들거나 귀찮은 사람은 스터디에 참여하는게 좋겠지만, 본인이 원하는 방향의 스터디가 있다면 직접 개설하는게 더 빠를 수 있다.
'시간을 보내며... > 스터디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34] 스터디 회고 (2) | 2025.02.18 |
---|---|
[Week33] 스터디 회고 (1) | 2025.02.11 |
[Week32] 스터디 회고 (1) | 2025.01.29 |
[Week31] 스터디 회고 (1) | 2025.01.20 |
[Week30] 스터디 회고 (1) | 2025.01.14 |